![]()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이것이 대한민국의 선거문화이다. 각 정당들이 인물보다는 자신들의 계파나 연관성으로 친한 후보들을 공천하고 그 순간만 모면해서 당선만 되고 보자는 식의 정치 문화가 우리나라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러다 보니 당선 이후에도 자신들의 철학과 소신 정치는 없고 그저 소속 정당의 입장으로만 끌려가는 정치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정치가 계속 이런 식으로 정치가 나간다면 과연 나라가 어떻게 되겠는가? 한번 생각해 보았는가? 개발 도상국에서 이제 겨우 선진국 대열에 들어섰는데 정치인들의 착각속에서 우리 정치가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일 보다는 자신들의 영리적 목적의식으로 탈바꿈되어 가고 있다. 이것이 우리 정치다.
오히려 이제는 지켜보는 국민들이 더 화가 난다. 왜 서로 협치해서 좋은 정치를 하여야 할 국회가 매번 반대 아닌 반대로 서로 옥신각신하는 싸움질로 얼룩지니 국민들은 과연 마음이 편안 하는가? 그럴 때 소신과 철학이 있는 정치인이라면 자신을 내려놓고 당당하게 맞서야지 그냥 자신의 당이라고 잘못되어도 지적 없이 동참하는 것이 과연 옳은 정치인가 생각해 보아라.
그러다 보니 각 정당들이 자신의 당 입장만 내세우는 정치 뿐이다. 이것이 민주정치인가? 왜 소신은 없고 선거 때만 자신은 할 수 있다고 국민들과 약속해놓고 당선되면 언제 그랬는가 하는 식으로 정치판이 가고 있다.
그런 모습들을 바라보며 지켜보는 국민들은 선거 후에는 정치인들의 신뢰는 사라지고 심지어는 사기꾼이라는 말까지 터져 나오는 사회다. 우리 사회가 이것이 맞는가? 말도 안 되는 사회다. 그런데 우리 선거 문화가 근본적으로 잘못되어서 더 그렇다.
국민들이 후보를 잘 알고 그런 후보는 선출을 안 시키면 되는데 우리 정치 문화는 양당체제로 1번 아니면 2번을 찍는 정치 문화가 이런 병폐를 양상 시키고 있다. 이것이 문제다. 국회도 다수당이 원내 교섭단체로 있어야 국민이 편하다. 이제부터 선거 방법을 바꾸면 간단하다. 그 지역에서 오래 살고 봉사 활동도 많이 하고 정치를 하는 후보를 선출하면 정당을 떠나서 정치판도 바뀔 수밖에 없다.
모든 정치는 물이 고이면 썩는다. 오래되면 물도 부패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오래된 물을 좋아한다. 왜 그런가? 언론과 정치판의 거래이다. 실질적으로 정치는 오래 하면 더이상 그 후보가 할 수 있는 일은 하나도 없다. 오래된 후보의 머리에서 나올 수 있는 것은 3선이면 더이상 나올 것이 없다. 그런데도 이 나라에 9선 의원도 있었다. 이게 말이 되는가? 과연 그 국회의원들이 무엇을 했는가? 이 나라 국민이라면 한번 돌아보아라.
물론 정치인 자신들도 창피한 줄도 모르고 산다. 이것이 선진국 정치인가? 이제 우리나라도 정치부터 변해야 한다. 이 나라와 국민들이 편하게 잘 살려면 그 사람들이 더 앞장서서 희생하는 정치가 좋은 결실을 가져오리라 믿는다. 그러려면 공천권 가지고 정당들이 자기 사람이라고 장난치지 마라. 인재를 등용시켜라. 이것이 나라와 국민을 위하는 정치인이 할 짓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