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당 대전시당은 26일 오전 대전교육청 정문 앞에서 교육·시민단체와 함께 우레탄 트랙 교체 촉구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조윤찬 기자 |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정의당 대전시당은 26일 오전 10시 30분 대전시교육청 정문 앞에서 ‘중금속 범벅 우레탄 트랙, 여름방학 중 교체 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김윤기 시당 공동위원장은 이날 “지난 18일 대전시교육청으로부터 학교 내 우레탄 트랙 설치 학교 102개(104개소) 중 63개(64개소)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중금속이 검출됐다”며 “대전 지역사회와 학부모들은 중금속에 오염된 우레탄 트랙에 대해 적적한 안전조치를 취할 것과 하루빨리 오염된 우레탄 트랙을 제거해 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지만 대전교육청은 교육부의 결정을 기다려야 한다며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른 시·도 교육청이 예비비를 투입해 즉각 우레탄 트랙을 걷어내기로 한 결정과 사뭇 다른 모습이다. 강원도교육청은 50억원의 예비비를 긴급 편성해 여름방학을 이용해 1차 교체를 마친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으며 경남도교육청도 8월까지 전면 철거 작업에 들어갔고 충남도교육청 역시 오염이 심한 43개 학교에 대해 긴급 철거와 교체작업에 들어갔다”고 언급했다.
또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간 문재가 된 학교들을 방문해 중금속 오염 우레탄 트랙을 걷어내자는 현수막을 게시하면서 현장을 점검했다. 많은 학교에서 우레탄 트랙 주위로 줄을 쳐놓고 안내문을 붙여놓는 등의 조치가 취해져 있었으나 아이들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줄을 넘어 다니는 등의 위험 행동을 하고 있었다”며 “일부 학교애서는 안내문만 있을 뿐 그 어떤 통행을 막는 조치도 돼 있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대전교육청은 지난 24일 예산이 확보 되는대로 올해 32개 학교와 내년 32개 학교로 철거와 재시공을 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지만 타 시·도의 대책과 비교할 때 이는 매우 미온적이고 안일한 대책이 아닐 수 없다”며 “공사가 이뤄지지 않는 학교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운동장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고 현재와 같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다면 우리 아이들과 시민들은 계속 오염물질에 노출되게 돼 있다”고 우려했다.
참석자들은 ▲대전교육청은 우선 예비비 집행과 추경예산 편성으로 여름방학 동안 우레탄 트랙 교체 할 것 ▲아직 제대로 조사 안된 초·중·고 농구장 바닥(교육청 소관), 대학(교육부 소관), 동네 체육시설이나 산책로(문체부와 지자체 소관), 아파트 놀이터(민간 소유) 등 제대로 조사 필요 등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