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치와 잇몸질환 진료현황(2011년-2015년 5년 간) |
1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충치와 잇몸질환에 대해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 간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충치와 잇몸질환’ 진료인원은 약 1658만명이며 진료비용은 약 1조3195억원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충치’의 경우 10세 미만(약 123만명, 21.8%), ‘잇몸질환’의 경우 50대(약 300만명, 22.1%)의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치와 잇몸질환‘의 진료 추이를 보면 진료인원은 2015년 기준 약 1658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470만명(39.5%) 증가했으며 국민 3명 중 1명이 진료를 받았다. 총진료비는 지난해 기준 약 1조3195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6305억원(91.5%)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충치’ 진료인원의 21.8%는 10세 미만의 아동이었고 10세 미만 21.8%>10대 13.6%>20대 13%> 50대 12.8% 순이었다.
반면 2015년 기준 ‘잇몸질환’ 진료인원의 절반 가량인 42.1%는 40~50대였으며 50대 22.1%>40대 20.0%>30대 15.4%>60대 13.5%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5년 진료비통계지표에 따르면 ‘치은염과 치주질환(잇몸질환)’은 지난해 외래 다빈도 상병 2위, ‘치아우식증(충치)’은 6위에 올랐다.
특히 ‘치은염과 치주질환(잇몸질환)’ 진료인원은 5년 전에 비해 약 540만명이 늘어나 2011년 진료인원 대비 67.1% 늘어났다.
이 같은 결과는 2013년 7월부터 스케일링 진료가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잇몸질환’ 진료인원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대한치주과학회 김영택 이사는 “최근 들어 잇몸질환으로 인한 치태세균이 혈액을 통해 심장질환, 당뇨, 류마티스 관절염 등 전신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잇달아 알려지고 있다”면서 “앞으로 백세시대에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