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화성시청 전경. |
30일 시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실시된 이번 공공 빅데이터 신규 표준분석모델 구축사업은 시민생활에 밀접한 행정 문제를 빅데이터를 활용해 해결하고 편의를 도우며 지자체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예산절감을 위해 마련됐다.
이번 화성시의 선정과제는 무인민원발급기 설치를 위한 입지 선정 모델로 총 4800여 만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선정으로 사업에 대한 예산의 50%를 국비 지원받는다. 단, 사업 발주 및 계약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총괄해 진행한다.
시는 빅데이터를 통해 ▲무인민원발급기 현황 분석 ▲신규지역 수요 예측 및 최적지 요건 분 석 ▲수요요인 및 민원 발급량 평가 등으로 무인민원발급기 운영을 최적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그동안 배치된 무인민원발급기 위치를 조정하고 향후 인구유입 예측에 따른 신규 무인민원발급기 위치 선정 등 최적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장경의 시 정책기획과장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도시문제 해법 마련에 기반을 닦을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중앙부처 등 공모사업에 적극 참여해 시민들의 행정 만족도를 높이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보육서비스 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과제로 선정돼 국비 2400만원을 지원받아 보육시설, 거주인구 분석을 통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우선순위 도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계획 수립 시 참고자료로 활용 예정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