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경부 수돗물 안심지원단은 24일 인천시 수돗물 정상화작업 진행상황 및 수질검사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 22일부터 시작한 1차 수돗물 시료를 분석한 것으로 수돗물 수질현황, 정상화조치에 따른 수질효과 등을 분석했다.
지원단은 22일부터 공촌정수장 급수구역 수질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송수관로·배수지 등 급수계통(14개소) 및 수용가 대표지점(17개소), 수질상태가 심각한 민원가정(7개소) 등 총 38개 지점에 대해 채수했다.
그 결과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
단 탁도(기준: 0.5NTU)는 급수계통(0.09~0.26NTU, 평균 0.12)에 비해 수용가 대표지점(0.08~0.39NTU, 평균 0.16) 및 민원가정(0.10~0.19NTU. 평균 0.14)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망간(기준: 0.05mg/L)은 급수계통과 지원단에서 직접 방문하여 채수한 가정(7곳)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수용가 대표지점 중 심곡동 1개 지점(0.004mg/L)과 운남동 2개 지점(0.010, 0.014mg/L)에서만 검출됐다.
이는 급수계통에 대한 청소효과가 단계별로 나타나고 있으나, 급수말단인 수용가에 도달하기까지 시일이 다소 소요되는 것으로 보인다.
지원단은 불로동 등 여전히 수질문제가 제기되는 민원가정에 대해 실태조사 및 수질검사를 실시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조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가정내 수돗물 필터가 변색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해를 돕고 보다 정확한 수질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별도의 분류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정상화지원반’은 지난 18일 공촌정수장 4개 정수지, 24일까지 배수지 8곳(15개지)에 대한 청소를 모두 완료하는 등 급수계통별 이물질 청소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송수관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토(물배수) 작업은 지난 19일부터 15개 지점에서 소화전과 이토 밸브를 통해 매일 지속적으로 실시(4만 4000t/일)하고 있다.
인천시와 교육청, 서구·중구청은 취약계층 및 수돗물 민원 집중지역의 식수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병입수돗물, 생수 및 학교급식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1일 이후 병입수돗물 9,800병, 생수(먹는샘물) 258t을 추가 지원했고, 시 교육청은 수돗물 피해 160개 학교(유치원 포함) 중 생수(105개교), 급수차(42개교) 등 147개교를 지원하고 있다.
지원단은 “수질검사결과, 정상화작업 일정 및 계획 등에 대해 정보를 매일 투명하게 공개하고 수돗물 정상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