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박세환 기자] 대구시가 올해도 도심에 흉물로 방치된 폐·공가를 지속적으로 정비해 주민편의시설로 탈바꿈시킨다.
장기간 방치된 폐·공가는 각종 생활쓰레기 투기로 인한 악취, 노후건축물의 붕괴 등 안전사고 우려, 청소년 비행장소, 범죄 및 화재 발생우려 등 도시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안전사각지대로 주민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시는 2013년부터 폐·공가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건축물을 철거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해 주차장, 쌈지공원, 텃밭 등 지역에 필요한 공공용지로 조성하고 있다.
작년까지 17억원의 예산을 들여 주차장 66개소, 텃밭 34개소, 쌈지공원 6개소, 운동시설 3개소, 꽃밭 11개소 등 폐·공가 120동을 공공용지로 조성했다.
시는 올해에도 8억원의 예산으로 50여개소의 폐·공가를 정비할 계획이다. 폐·공가 정비사업을 희망하는 폐·공가 소유자는 해당지역 구·군청 건축(주택)과로 신청할 수 있다. 시는 재해위험 및 도시미관, 주민편의시설 입지 적합성, 주민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사업대상을 선정한다.
사업에 동의한 폐·공가 소유자에게는 철거비용 전액을 지원하고 공공용지의 용도 및 지역에 따라 재산세 감면 혜택도 주어진다.
대구시 김수경 도시재창조국장은 “대구시 자체예산으로 추진 중인 폐·공가 정비사업은 관련 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아울러 올해 국토교통부의 관련 법 제정에 따라 쾌적한 주거환경조성 및 도시미관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식의 빈집정비 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