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금·장학금 전달 ▲우수사례관리사 시상 ▲이사장 송년특강
손병호 이사장 특강 “복지·교육·법률 등 지원에 14년 동안 각고의 노력 끝에 상당한 성과 거둬” 자평
![]() |
▲사단법인 다문화종합복지센터가 ‘2024년 정기총회 및 송년회’를 21일 서울 용산구 소재 다복지센터 대강당에서 개최 중인 가운데, 우수사례관리사 및 다문화활동가 12명이 감사장과 시상금을 받은 후 손병호(가운데) 이사장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하 다문화종합복지센터 제공 |
[로컬세계 = 기우치 기자] 최고의 실행력으로 다문화가정의 한국사회 정착과 복지증진을 선도하고 있는 사단법인 다문화종합복지센터가 ‘2024년 정기총회 및 송년회’를 21일 서울 용산구 청파동 소재 다복지센터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이날 정기총회에는 전국에 퍼져있는 우수사례관리사와 다문화장학생, 시·도 지부장, 본부 임직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나눔방 섹소폰팀의 축하연주 ▲한·필 다문화가정 2세의 축하송 ▲황인태 고문의 축사 ▲후원금 전달 ▲장학금 전달 ▲우수사례관리사 시상 ▲손병호 이사장의 송년특강 ▲경품추첨 순으로 진행됐다.
황인태 다문화종합복지센터 고문은 축사를 통해 “‘사랑’, ‘연민’, ‘용서’, ‘공동체 의식’이 작금의 한국 사회에서 사라지고 타인·타단체·타정파를 비판하고 불신하는 게 다반사가 되어 버렸다”며 “대한민국과 세계평화를 구축하는 첨병 역할을 하고 있는 전국 다문화가족의 리더격인 여러분들은 ‘사랑, 연민, 용서, 공동체 의식’을 갖고 실천하는 생활을 통해 다복지센터를 널리 홍보하면서 대국민 호응도를 높이는 삶을 영위하면 좋겠다”라고 당부했다.
![]() |
▲사단법인 다문화종합복지센터가 ‘2024년 정기총회 및 송년회’를 21일 서울 용산구 청파동 소재 센터 대강당에서 개최 중인 장면. |
손병호 이사장은 특강을 통해 “2024년도에 국내 다문화인구 250만명, 가구 수 41만 가구를 넘어서 우리 나라가 명실공히 다문화국가가 됐다”며 “특히 다문화가정은 가정당 합계출산율이 2.7명으로 지난해 0.72명이었던 한국 전체 가구의 합계출산율보다 4배 가까이 높아 저출산문제 해소, 산업생산력 증진 등 대한민국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손 이사장은 이어 “그러나 이 같은 기여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정의 한국 사회 내 안정적인 정착에는 여러 가지 애로가 산적해 있는 게 현실이다”며 “우리 다문화종합복지센터는 이들의 ‘복지’, ‘교육’, ‘법률’ 등의 지원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난 14년 동안 혼신의 노력을 다한 결과 여러 후원 기관·기업·단체들의 협조에 힘입어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라고 자평했다.
![]() |
▲ 손병호 이사장이 송년특강을 하던 중 올 한 해 동안 수고한 활동가와 우수사례관리사들의 활동상을 소개하며, 만면에 웃음을 띤 채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하고 있다. |
손 이사장은 마지막으로 “본 센터의 이 같은 다각적인 활동에 힘입어 이제 국내 다문화가정들은 점차 자생력을 길러가고 있고, 상당수는 언론에 보도될 정도로 지역사회의 중심적인 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며 “2025년도에는 우리 다문화 가정들이 다국적 국제가정으로서 한반도 평화 및 나아가서는 통일, 동북아시아 평화,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더욱 자신감을 갖고 보다 더 활기차게 활동을 전개해나가자”라고 힘주어 말했다.
한편 다문화종합복지센터는 2011년 여성가족부로부터 전국 사단법인 허가를 받아 활동 중이다. 다문화의 강점을 한국 사회와 나눌 수 있도록 교육사업, 상담사업, 봉사사업, 지원사업 4대 분야에서 총 50여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국내 최고의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
▲ 나눔방 섹소폰팀의 축하연주를 준비하고 있는 장면. |
다복지센터는 사랑의열매, 용산복지재단, 한국전력, KB증권, 서울시, 부산상공회의소 등 20여개 기관·기업으로부터 후원금을 받아 ▲교육사업 ▲상담사업 ▲봉사사업 ▲지원사업 등 4대 사업을 진행했다.
![]() |
▲ 한국-필리핀 가정의 2세가 특송을 부르고 있는 장면. |
구체적인 사업자금 집행내역을 살펴보면 ▲다문화가정 2세장학금, 장애인캠프, 이주 대학생장학금, 부부공감워크숍, 6억 1000여만원 ▲다문화가정 물품후원 7803만원 ▲이주여성 한국어 발음 교정 3000만원 ▲이주여성가장 긴급지원, 엄마나라문화탐 4500만원 등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