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수봉 교수가 지난 8월 15~17일 몽골의 울란바토르(Mongolia ,Ulaanbaatar) 노보텔 울란바토르호텔에서 열린 제16차 아시아 당뇨병 학회(16th Scientific Meeting of Asi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AASD 2024)에서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
[로컬세계 = 마나미 기자] 최수봉 건국대 명예교수는 “인슐린펌프 치료와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 약물 병용요법이 혈당조절과 췌장의 기능을 개선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과 인슐린 저항성인데 인슐린펌프 치료를 통해 인슐린 부족을 해결했고 엠파글리플로진으로 인슐린 저항성도 줄여 혈당조절에 효과적이고 췌장의 기능도 개선되어 당뇨병 원인을 해결해 당뇨병 치료의 새 장을 열었다.
최 교수는 지난 8월 15일부터 17일까지 몽골의 울란바토르(Mongolia ,Ulaanbaatar) 노보텔 울란바토르호텔에서 열린 제16차 아시아 당뇨병 학회(16th Scientific Meeting of Asi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AASD 2024)에서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 교수는 15일 오후 ‘아시안 당뇨병의 병태생리에 대한 새로운 통찰(New Insights into the pathophysiology of Asian diabetes)’ 세션에서 발표한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인슐린펌프와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의 병용요법에 의한 당화혈색소와 베타세포 기능의 개선(Glycated hemoglobin and beta cell function improved after empagliflozin addition on insulin pump treatment in type 2 diabetics)’논문을 통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최수봉 교수가 지난 8월 15~17일 몽골의 울란바토르의 노보텔 울란바토르호텔에서 열린 제16차 아시아 당뇨병 학회(AASD 2024)에서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
최 교수는 2형당뇨 환자에 대한 인슐린펌프와 엠파글리플로진 병용요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슐린폄프로 치료 중인 58명의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10mg/day의 엠파글리플로진을 12개월간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등 기존 치료방법에서는 당화혈색소 (HbA1c)는 9.31±1.78%이었으며, 인슐린펌프 치료 7.30±0.96%로, 인슐린펌프 치료에 엠파글리플로진 요법을 추가한 6개월 및 12개월 후에는 각각 6.60±0.67% 및 6.68±0.54%로 혈당수치가 개선된 것을 밝혀냈다(p<0.001).
또한 인슐린펌프와 엠파글리플로진 병용요법 후 췌장 베타세포의 성능지표인 c-peptidogenic index가 개선되었으며 (p<0.001), 투여되는 인슐린 용량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p<0.001).
반면, 체질량지수와 혈중 creatinine은 치료기간 동안 안정적이었다고 밝혔다.
최수봉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인슐린펌프와 엠파글리플로진 병용요법이 혈당조절과 함께 췌장의 기능을 개선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라며 “이 치료를 병용하면 당뇨병 치료에 한 발 더 다가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 SGLT2 Inhibitor)인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은 인슐린펌프로 치료하는 제2형 당뇨병(T2DM)환자의 경우 인슐린펌프만으로 치료하는 것보다 혈당조절과 인슐린 저항성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며 “본 연구에서는 인슐린펌프 요법에 추가되는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 치료의 효능을 제2형 당뇨병환자 군에서 평가했다”라고 말했다.
![]() |
▲최수봉 교수의 박사논문 |
이 논문에서 최수봉 교수는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과 인슐린 저항성이 원인인데, 포도당 수치가 높으면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고 포도당 수치를 떨어뜨리면 인슐린 저항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시험적으로 밝혀낸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은 포도당 수치, 즉 혈당이 높을수록 높아진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결국 기존 학계의 주장대로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고혈당이 오는 것이 아니라 고혈당이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이라는 것을 규명한 것이다.
최수봉 교수는 지난 1979년 휴대용 인슐린펌프를 개발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고 그가 개발한 인슐린펌프는 지금까지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중국 등 세계 60여 개국 이상으로 수출되어 세계의 당뇨병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