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최종욱 기자]정부가 추진한해 온 여성관리자 임용목표제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자치부는 3월 8일 세계여성의날을 맞아 5급이상 지방 여성공무원의 비율을 2021년까지 16.4%로 높이는 ‘제4차 관리직 여성공무원 임용확대계획’을 발표했다.
지방자치단체 5급 이상 관리직 여성공무원은 전체 2617명(12.1%)으로 조사됐다. ’95년 민선 지방자치가 다시 시작할 당시 604명(3.6%)에 불과했으나, 지난 20여년 만에 2617명(12.1%)으로 4배 이상(2013명) 증가했다.
6급 이상 여성공무원 수는 전체 2만4437명으로 26.5%로 조사됐다. 20여년 전 2287명(4.2%)과 비교해 10배 넘게 증가했다.
![]() |
▲시·도 공무원 5급 이상 여성 관리자 비율(%) (’16.6)
|
시·도별로는 서울시가 20.3%로 가장 높았으며, 광주(15.3%), 부산(14.7%)이 그 뒤를 이었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서울 영등포구(33.3%)가 유일하게 30%를 돌파해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서울 중구(28.6%), 서울 노원구(26.1%)의 순으로 조사됐다.
![]() |
▲ 연도별 여성관리자 현원 (‘95~’16.6), 6급이상 약 10배 증 |
직급별로는 5급 여성관리자 비율은 12.4%, 4급 8.2%, 3급 이상은 6.0%이다. 3급 이상 여성공무원은 ’95년 2명에서 ’16년에는 54명으로 증가했다.
신현숙 전라남도 보건복지국장은 “조직에서의 합리적인 인사관행이 정착되고 있고, 열정적인 여성공무원이 늘어나고 있다”며, 본인 역시도 일·가정 양립이 힘들어 승진을 포기할까도 많이 고민했지만, “공직사회가 유리천장 깨트리기에 모범을 보여 민간 부문을 적극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덕섭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실장은 “여성공무원의 변화에 맞추어 여성관리자 임용목표를 현실에 맞게 매년 연동해 조정하고, 여성공무원들이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한 관리직 육성을 위해 육아휴직제도 개선, 시간선택제 근무 및 유연근무제 활성화 등을 적극 지원하고 인사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