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이명호 기자]지난 50년간 산림녹화 운동을 통해 폐허의 땅을 '푸른 숲'으로 바꿨다. 이제는 ‘풍요로운 숲’을 가꾸어 미래세대에게 경제·환경적 가치를 물려주기 위한 복안이 나왔다.
![]() |
▲미래세대 위해 4월 말까지 전국 2만2000ha에 54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다.( 산림청 제공 ) |
산림청이 개청 50주년 제72회 식목일을 맞아 여의도 면적 77배에 달하는 면적에 54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다고 ‘2017년도 나무심기 추진 계획’을 지난 31일 발표했다.
경제림 육성단지 1만6000ha에 옻나무·헛개나무 등 경제수종과 특용자원을 심고, 금강 소나무 등 지역 특색에 맞는 산림자원 육성 조림에 적극 나선다.
산불·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복구, 고속도로·국도변 경관 조성을 위한 산림 공익적 목적을 위해 4500ha에 나무를 심는다. 아울러 녹색쌈지숲, 가로수, 학교 명상숲, 무궁화 동산 등에 나무를 심어 국민 휴식과 치유를 위한 숲도 조성한다.
‘내 나무 갖기 캠페인’도 벌여 나무를 심고 가꾸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이를 위해 오는 5일까지 전국 176개소에서 유실수·조경수 등 81만 본의 묘목을 무료로 나누어 주고, 전국 170곳에서 산림수종·조경수 등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나무시장'을 운영한다.
또 국민들이 직접 나무를 심고 가꾸는 ‘내 나무 심기’가 도시근교 111곳(59만그루)에서 진행한다.
묘목 배부처와 나무시장 운영 장소, 나무심기 행사 계획 등은 산림청 홈페이지(http://www.fores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주가 나무심기 참가를 희망하면 산림 소재지 시·군·구 산림부서로 신청하면 최대 90%까지 비용을 지원받는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황폐했던 산림이 오늘날 이렇게 푸르고 풍요로울 수 있는 것은 국민들의 적극적인 산림녹화 노력 덕분"이라며 “국토의 63%인 산림이 국가발전 원동력으로 활용되고, 국민이 숲을 통해 더 행복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은 '2030 산림탄소경영전략'에 따라 생장이 정체된 나무를 이산화탄소 흡수력이 높은 활엽수로 수종 갱신해 산림탄소 흡수력을 높이고 미래 유용가치가 높은 유망 수종 발굴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