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5월말 현재 우리나라 주민등록상 인구는 5173만2586명으로 지난 4월말에 비해 9683명(0.02%) 증가했다. 인구 5173만2586명 중 여자는 2589만2225명(50.1%), 남자는 2584만361명(49.9%)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5만1864명 더 많다.
주민등록 인구 중에서 거주자는 5122만8735명(99.03%), 거주불명자는 45만2653명(0.87%), 재외국민은 5만1198명(0.10%)이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142만9935세대로, ’17년 4월 2140만2062세대보다 2만7873세대가 증가했다. 세대당 인구는 2.41명이다.
지난달과 비교할 때 경기(1만1214명), 세종(5045명), 충남(,496명), 제주(1407명), 인천(965명) 포함 7개 시도의 인구는 늘어났다.
서울(△3729명), 부산(△2070명), 대전(△1809명), 경북(△951명), 전북(△776명), 대구(△629명) 등 10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했다.
’17년 5월말 주민등록 인구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 수)는 99.8명이고, 여자(2589만2225명)가 남자(2584만361명)보다 5만1864명 더 많다.
성비 변화를 보면 주민등록 인구통계 시스템으로 최초 집계한 ’08년(100.4명)부터 ’14년(100.04명)까지는 남자가 더 많았고 ’15년(99.95명)부터는 여자가 남자를 초과하여 그 차이가 커지고 있다.
시·도 지역별 성비 특징을 보면, 특·광역시 지역은 98.1명으로 여자(1173만2159명)가 남자(1150만8260명)보다 22만3899명 더 많고 도 지역은 101.2명으로 남자(1433만2101명)가 여자(1416만66명)보다 17만2035명 더 많다.
특·광역시 지역에서 울산, 인천을 제외한 서울(96.3명), 부산(97.2명), 광주(98.2명), 대구(98.6명), 세종(99.8명), 대전(99.9명)은 여자가 더 많고 도 지역에서 전북을 제외한 충남(103.3명), 충북(102.0명), 경남(101.5명), 강원(101.5명), 제주(101.3명), 경기(101.2명) 등 8곳은 남자가 더 많다.
시·도에서 성비가 가장 높은 울산(106.1명)은 남자(601,244명)가 여자(56만6716명)보다 3만4528명 더 많고 성비가 가장 낮은 서울은 96.3명으로 여자(505만3238명)가 남자(486만5778명)보다 18만7460명 더 많다. 이는 전국 여자-남자인구 차이(5만1864명)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시·군·구 지역별 성비 특징을 보면 군 지역은 101.4명, 시 지역은 101.2명, 구 지역은 97.9명 순으로 시와 군 지역은 남자가, 구 지역은 여자인구가 더 많다.
시 지역에서 경남 거제(111.5명), 경기 포천(110.7명), 충남 당진(110.5명), 경기 시흥(110.4명), 화성(107.0명), 전남 광양(106.3명)을 포함한 44개 지역(시 75개의 58.7%)은 남자인구가 더 많았다.
군 지역에서 인천 옹진(131.9명), 강원 화천(123.4명), 경북 울릉(119.4명), 인제(117.4명), 양구(116.1명), 철원(112.6명) 포함 45개 지역(군 82개의 54.9%)은 남자가 더 많았다.
구 지역에서 부산 수영(91.3명), 서울 마포(91.8명), 강남(91.9명), 서초(92.2명) 포함 51곳(구 69개의 73.9%)은 여자가 더 많았고 특히 서울은 금천(103.6명), 관악(101.8명)을 제외한 23개 구, 부산은 강서(106.7명), 사상(103.4명) 제외한 13곳에서 여자가 더 많았다.
연령대별 성비를 보면, 0~9세부터 50~59세까지는 남자인구가 더 많고, 60~69세(94.8명) 이상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여자가 더 많다.
9년 전인 ’08년 5월과 비교하여 0~9세, 10~19세, 40~49세는 성비가 줄어 남자인구 비율이 감소한 반면, 20~29세, 30~39세, 50~59세는 성비가 늘어 남자인구 비율이 늘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