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강흥 (시인, 수필가) |
선거가 끝나고 국민 모두가 단결된 마음으로 제자리로 돌아가서 열심히 일을하면 되는데, 정치적으로 자신이 지지한 후보가 선출되지 않았다고 불만을 가지고 있다 보면 지켜보는 사람들 마음도 편치는 않고 생산성도 떨어진다. 이것이 한국 정치의 모순이다.
어느 당 누가 후보로서 당선이 되듯 축하를 하면 되는데 자신이 지지하는 당과 후보가 안 되면 사회적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문제다. 자신이 출마자도 아닌데 왜 그런가? 정치적 공감대로 이해는 없고 자기 자신만의 생각으로 정치를 판단하는 것이 우습다.
민주주의에서 선거는 자신의 생각과 다르게 그 결과가 나와도 당선자를 인정하는 것이 직접선거다. 그런데 선거 이후의 잡음을 만드는 사람들이 문제다. 그래서 국민들 간에 서로의 불협화음이 생기고 편이 갈라지고 하는 모습이 과연 좋은 것인가? 절대 그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선거는 주로 보수와 진보라는 색깔로서 포장되어 선거 시작부터 국민들 편을 가른다. 그러다 보니 지연 학연 심지어 자신들의 패거리를 만들어서 합세하여 이용하는 정치인들이 각성해야 한다. 그러니 우리 정치가 후진을 면치 못하는 것도 이런 선거 문화의 저질스러운 행동들이 결국에는 정치를 후진국으로 만들어 나간다.
후보 자신의 정책공약과 자신만이 생각하는 지역 발전과 철학을 가지고 도전해야 하는데 편 가르기식으로 도전하면서 자기편을 만드는 것이 우습다. 그러다 보니 상대를 비방하고 헐뜯고 하는 선거운동으로 일관되어 왔다.
그 결과의 후유증이 크게 나타나면서 국민 상호 간의 불신과 지지세력 다툼으로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면서 나라가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 어렵다. 이 모든 것이 과거 군사정부 시절부터 잘못된 선거 문화가 관행처럼 보고 배운 것이다.
이제는 과감하게 개혁하여 선진 선거 문화가 되도록 고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에는 모두가 국민이 피해자가 되는 선거가 되는 것이다. 이래도 계속 이런 식으로 선거를 치러야 하는가?
선거는 그 자리에서 일을 열심히 할 후보를 선출하는 것이지 편 가르기식 후보를 선출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선거는 주로 영호남과 학연이나 공공단체들을 끼고 선거를 치뤘다. 이것이 화근이다. 개개인의 확실한 신념과 공약을 보고 후보 자신의 능력 검증을 하는 것이지 진보와 보수를 고르는 것이 아니다.
그러다 보니 선거 이후의 후유증이 국민 단합을 시키지 못하고 패거리를 만드는 꼴이 되어 민주주의 없는 반민주주의 선거로 돌변하여 형식적 법치주의로 건전한 법치주의 행세를 하려고 한다. 이러니 선거가 끝나면 국민 통합이 쉽게 이루어 지는가? 의심스럽다.
이 모든 것들이 정치인들의 소행이다. 왜 그런가? 선량한 국민들을 선동하여 편을 가르고 있으니 정확하게 잘 모르는 국민들도 언론에 나오는 얘기와 떠드는 소리만 듣고 편을 가른다. 내용도 정확하게 모르면서 속단하여 편이 되는 꼴이다. 이것이 한국 정치다.
이러다 보니 국민 소통과 통합이 어렵다. 진정한 정치인이라면 미래 정치는 국민 통합이다. 그렇다면 상대 후보의 지적 보다는 자신을 알리고 어떻게 일을 하겠다는 심도 있는 공약을 점검하는 정치의 선출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 선거 이후에도 국민 통합이 쉽게 이루어진다. 상대를 비방하는 후보는 중간에라도 후보 퇴진을 시켜야 한다.
오직 자신의 홍보도 제대로 못하는 후보가 무슨 구가를 위해서 어려운 일을 할 수 있겠는가? 우리 국민 모두가 선거는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뽑고 나서 욕하면 무엇하나요. 처음부터 제대로 된 일꾼을 뽑는 선거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